0. 문과출신 비전공자의 빅데이터 국비교육 첫 날. 작년부터 코딩에 관심이 생겨서 컴퓨터공학, 파이선, 머신러닝.. 등등 짧은 mooc 강의를 들은 적은 있으나 코딩 프로그램 돌려본건 손에 꼽는다. 코딩에 대충 발 끝만 담궈본 상태로 교육을 들었다. 오전 8시반부터 5시반까지 진행되는 교육. 첫 날인 만큼 매우 많은 것을 배우지는 않았다. 그리고 그렇게 어렵지도 않았다. 복잡할 것도 없었고.
사실 국비교육을 아주 갑작스럽게 결정한 터라 아직까지도 이 교육을 듣는게 맞는지 의문이 든다. 워홀 일정까지 미뤄가며 들을 정도의 가치가 있는 교육인지 확신이 안서기 때문이다. 교육을 들어야겠다고 생각한건 아무리 무료 인강이 넘쳐난들 집에서 혼자 안 듣기 때문이다. 일종의 강제성이 필요하다는 이유였다. 코딩이 궁금하고 배워보고 싶은데 혼자 공부할 엄두가 안나서! 또 다른 사람들과 같이 공부하다보면 서로 동기부여도 되고. 다만 교육일정상 프로젝트할 때쯤은 비대면으로 교육을 들어야 할 텐데 팀프로젝트가 가능할지는 모른다. 그럼 개인 프로젝트 하는거지..뭐.. 다음주까지 조정기간이라 결국 수강포기할지도 모름. 하여간에 복잡하게 산다 인생..
1. java 기본 세팅. 이클립스 다운로드. 맥 ios 용으로 다운받았다.
2. 오늘은 정말 수박 겉핥기 식으로 배운 것 같다.. 특별히 수업에서 강조했던 부분만 따로 빼서 정리함.
*class의 이름은 무조건 대문자로 시작.
*main 은 class 당 한 개만 허용. 다른 함수쓰려면 이름 다르게 할것.
*console 에 출력하는 공식은 System.out.println();
System.out.println(10); //정수상수 int
System.out.println(3.15); //실수상수 double, float
System.out.println("hello"); //문자열string
System.out.println('h'); //문자상수 character
System.out.println(true); //bool값 boolean
System.out.println("3+5=" + 8);
System.out.println("3+5"+ "연산의 결과는 "+8);
* int(4byte)-정수상수, double(8byte)-실수상수 위주로 쓸 것. int의 범위 는 약 -+21억까지.
* 접미문자 F(float), L(long) 숫자 뒤에 쓰면 실수로 바꿔줌. 4byte 까지만 커버되는 F보다 8byte까지 쓸 수 있는 L 쓰면 오차가 훨씬 적기 때문.
* 자동형변환 : 작은게(byte) 큰거 따라감.
* byte(1B)<short(2B)<int(4B)<long(8B) < float(4B)<double(8B)
* (Type): cast 연산자, ex) 70은 정수. (double) 70 = 70.0 실수로 바꿔줌
* 문자열String
String str="A" //문자
String str="A"+100; //문자열 + 정수 "A" +"100"
String str = "A"+10.0; //문자열 + 실수 “A" +"10.0"
System.out.println(str); //AB
